반응형

전세 2

디딤돌+보금자리론 동시 대출 한도 계산 방법

집을 나가기로 결심얼마 전 걸려 온 전화 한 통. "죄송한데 집을 비워주셔야 할 것 같아요." 현재 살고 있는 전세 계약 종료가 한 달 남짓 남았을 때, 임대인으로부터 전세 계약 해지 통보 연락이 왔습니다. 묵시적 갱신이 인정되는 2개월 전까지 계약 종료 의사를 통보하지 않았지요. 그래서 같은 조건으로 계약이 연장되는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임대인이 늘 이렇게 말했거든요. "보증금 안 올릴 테니 집 무너질 때까지 사세요." 실제로 계약을 한 번 연장하면서도 보증금을 따로 올리지 않았던 데다가, 재건축이 확정되면서 임대인의 말을 더욱 신뢰했었답니다. 시세보다 꽤 저렴한 금액으로 살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최대한 오래 버티면서 돈을 모아야겠다고 생각했었지요. 뭐, 사실 집 나가라는 말에 버팅기..

소소한 팁들 2024.05.14

전세 계약 연장 갱신 계약서 필요성과 작성 요령

최근 지금 거주 중인 집과, 회사에서 사택으로 활용하고 있는 오피스텔의 전세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재계약을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재계약 형태에 따라 갱신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제가 실제로 두 건의 전세 재계약을 진행하면서 알게 된 전세 재계약 방법과 갱신 계약서 작성 요령을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전세 계약서를 다시 작성하려면 부동산에 가자니 약 10만원의 비용이 들고 (시간도 당연히 듭니다.), 직접 하자니 계약서 작성 및 검토하는 수고가 들어가게 되니 가급적 피하고 싶어집니다. 하지만 계약서를 꼭 작성해야 하는 상황들이 있으니 이번 기회에 잘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1.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 먼저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입니다. 부동산..

소소한 팁들 2022.08.04
반응형